Development • 프로젝트
문래동 4가 재개발, 우여곡절 끝에 삼성-대우 컨소시엄 시공사로 선정
서울시 준공업지역 용적률 규제 완화로 사업성 개선된 덕분
준공업지역 규제 완화로 아파트 가구 늘리고, 지식산업센터는 줄여
서울시의 준공업지역에 대한 용적률 규제 완화로 준공업지역 비중이 큰 영등포, 구로 등 서울 서남권의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4가 도시환경정비구역 재개발 조합은 27일 열린 총회에서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공사비 규모는 9346억 원으로 알려졌다.
문래동4가 재개발 사업은 문래동4가 23-6번지 일대 9만4087m² 부지에 총 연면적 36만 576m² 규모로 공동주택과 지식산업센터 및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다. 낡은 철공소가 몰려 있는 문래동4가 재개발 구역은 2012년 준공업지역 도시환경정비구역 정비계획에 따라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문래동4가 재개발 구역의 시공사 선정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용적률 규제를 받는 준공업지역 재개발의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건설사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조합은 지난 4월 시공사 선정 입찰을 진행했지만 응찰한 건설사가 없어 유찰됐다. 지난 7월 마감한 재입찰에서는 삼성물산·대우건설 컨소시엄이 단독 응찰해 또다시 유찰됐다. 이에 조합은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삼성물산·대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할 수 있었다.
당초 조합은 1114가구의 아파트와 1041실의 지식산업센터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준공업지역은 정비사업 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산업기반 유지를 목적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지식산업센터 건립이 포함됐다.
그러다 서울시가 지난 3월 준공업지역의 재개발·재건축 활성화를 위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을 250%에서 400%로 높이기로 하면서 문래동4가 재개발 사업의 사업성이 크게 개선됐다.
조합은 서울시 발표로 아파트를 늘리고 지식산업센터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업계획 수정을 추진해왔다. 조합은 지난달 말 32층 9개 동을 49층 6개 동으로 변경하고, 공동주택을 2176가구로 늘리는 정비계획 변경안을 영등포구청에 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