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 프로젝트

강남에 ‘판교 대항마’ 뜬다...옛 포이밸리 재도약 시동

서초·강남구, 160만㎡ ICT 특구로 개발 추진 2028년까지 1만 명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

2025-08-06 07:56:07황재성js.hwang@corebeat.co.kr

서울 강남지역에 ‘판교의 대항마’가 들어선다.


서초구와 강남구가 힘을 합쳐 옛 포이밸리 일대 160만㎡(약 48만여 평)를 정보통신기술(ICT) 특정개발진흥지구로 지정해 집중 개발 및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강남권이라는 입지, 산업 인프라, 교통 접근성 등을 감안할 때 적잖은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포이밸리’ 살리기에 서초구·강남구 맞손

7일 서울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초구와 강남구는 ‘양재·개포 ICT 특정개발진흥지구’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을 마련해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12일까지 주민 공람 절차를 진행 중이다.


대상지는 서초구 양재1·2동과 강남구 개포4동 일대로, 1990년대 국내 벤처 열풍을 주도했던 ‘포이밸리’로 불리는 지역이다.


두 자치구는 이곳에 서초의 연구개발(R&D) 역량과 강남의 사업화 실행력을 결합한 ‘도심형 혁신지구 모델’을 구축하고, 서울형 ICT 산업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사업기간은 2028년까지이며,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1단계에서는 두 자치구가 각각 전담 운영지원센터를 설치해 기업·인재·투자 등의 유치와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한다.


2단계에서는 공동협의회를 구성해 정책 연계성과 통합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3단계에서는 민관 협력 기업협의체(P-Valley, 가칭)를 발족해 현장 기반의 실행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두 자치구는 이 사업에 약 1500억 원(서초 909억 원, 강남 513억 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약 3969억 원의 파급효과와 1만 522명의 고용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방안도 마련됐다. 서초구는 ‘AI 칼리지’ 운영, 지역 지능화 인재 양성, 스타트업 펀드 조성,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운영,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지원 등 ICT 창업과 성장 전 단계를 아우르는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강남구는 운영지원센터 설치와 함께 스타트업 IR 활성화, 투자유치 연계 프로그램 등 기업지원책을 강화하고, 주차장과 체육시설 조성, 보도 정비 등 생활 인프라 확충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 최초의 자생적인 벤처타운, 포이밸리

포이밸리는 1990년대 당시 전국 2000여 개 벤처기업 가운데 450곳 이상이 터를 잡았던 곳이다. 특히 이 지역은 ICT 산업 중심지인 테헤란로와 인접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해 벤처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몰렸다. 이 때문에 정부의 별도 지원 정책 없이 민간 주도로 형성된 한국 최초의 자생적 벤처타운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이후 판교테크노밸리와 구로디지털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의 성장과 정책 지원 미비로 기업 이탈이 가속화되며 위상은 점차 약화됐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ICT 대기업, 연구기관, AI 스타트업 등이 밀집해 있으며, 주변 산업지구와의 연계성도 뛰어나다.


양재 AI 허브에는 100여 개 스타트업이 입주해 있고, 테헤란밸리, 강남 벤처촉진지구, 과천지식정보타운 등도 가깝다. 특히 양재IC를 중심으로 판교, 수서, 문정 등 주요 ICT 거점과 빠르게 연결되는 교통 인프라는 큰 강점이다.


부동산개발업계 관계자는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양재·개포 일대는 테헤란밸리와 판교테크노밸리를 연결하는 ‘ICT 삼각축’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포이밸리의 역사적 브랜드 가치도 투자 매력도를 끌어올리는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