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 프로젝트

용산국제업무지구, 주거용지 40% 확대

서울시, 2차 개발계획 변경안 공개 정부 도심주택공급 확대 기조 반영 11월엔 기반시설 시공사 선정 입찰

2025-10-29 08:17:45황재성js.hwang@corebeat.co.kr

서울시가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서울코어) 내 주거지역 면적을 40%가량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의 도심 주택공급 확대 기조에 발을 맞추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한편 다음 달 기공식을 앞두고, 코레일과 공동 시행사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단지조성공사를 맡을 시공사를 11월 중 선정하기 위한 입찰에 돌입했다.

사진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이다. 지난해 11월 확정된 개발계획을 바탕으로 마련된 1차 변경안에 대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지난 9월 심의한 결과를 반영해 새로 만들어진 것이다. 자료: 서울시

주거용지 늘리고, 오피스텔은 대폭 감축

30일 서울시와 업계에 따르면 용산구청은 용산서울코어 개발사업의 ‘도시개발구역 지정(변경)(안) 및 개발계획(변경)(안)’을 마련해 지난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주민공람을 진행 중이다.


이번 변경안은 지난해 11월 확정된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을 바탕으로 마련된 1차 변경안에 대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지난 9월 심의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시는 11월 중순까지 변경안을 확정하고, 실시계획 인가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변경안에 따르면 전체 개발면적은 최초 49만6601㎡(15만222평)에서 45만6099㎡(13만7970평)으로 축소된 1차 변경안 규모를 유지한다. 대신 주거지역은 6만1282㎡(1만8538평)에서 8만4663㎡(2만5611평)으로 약 40% 확대된다. 반면 상업지역은 39만1959㎡(11만8537평)에서 37만1020㎡(11만2234평)으로 줄었다.


사업의 핵심인 국제업무지구를 둘러싼 업무복합지역 내 주거시설(오피스텔) 면적은 오히려 축소됐다. 당초 계획에서 B3~B7, B9 블록의 주거비율은 50%에서 40%로, B8 블록은 30%로 하향 조정됐다.


즉, 업무시설 비중이 높은 지역의 주거 기능을 줄이는 대신 아파트 등 순수 주거지역을 넓힌 셈이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도심 주택공급 확대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정부는 서울 주요 도심 부지를 고밀복합개발해 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이번 변경안에는 일부 시설 규모 조정도 포함됐다. 스카이트레일과 고가보행데크는 일부 구간이 축소됐으며, MICE 시설은 2만5000㎡에서 7500㎡로 줄었다. 의료시설은 300병상 규모로 확정됐다.

2029년 하반기 공사 완료 목표

한편 SH공사는 단지조성공사 시공사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총 공사금액은 약 1494억 원, 공사기간은 1350일(약 45개월)로 책정됐다. 약 3개월의 공사준비기간을 거쳐 본공사에 착수할 예정으로, 단지조성공사 완료 시점은 2029년 하반기로 예상된다.


이번 공사는 부지 정비와 기반시설 구축 등 1단계 사업으로, 이후 본 건축 착공의 전제조건이 되는 핵심 인프라를 조성하는 내용이다. SH공사는 입찰 과정에서 시공 능력과 공정 관리 역량을 중점 평가할 방침이다.


입찰 접수 마감 및 개찰은 11월 12일 예정이며, 참가 자격은 토공 시공능력평가액 2230억 원 이상이다. 중견 건설사 이상이면 참여가 가능한 수준으로, 치열한 수주 경쟁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