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series • insight

국내 대출형 펀드, 구조적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2025-04-16 08:37:48

지난 코어비트 인사이트 리포트 3편에서는 국내 대출형 펀드의 성장 배경을 다뤘다. 2024년 기관투자자의 대출형 펀드 투자가 대폭 확대되었는데 이는 구조적 요인보다는 상대적인 투자매력도 때문이었다고 분석했다.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오피스시장의 Cap Rate가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에쿼티 투자 매력은 낮아졌고, 반대로 금리 상승의 수혜를 받은 대출형 펀드의 매력도는 높아졌다. 동시에 시장 유동성 위축도 대출형 펀드 수요를 자극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국내 대출형 펀드 시장은 아직 시장 규모나 투자자 풀 등 미국에 비하면 시장의 성숙도가 현저히 낮다. 이는 유동성 부족과 고금리 등 단기적 환경 요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처럼 전통 대주 (은행, 보험사)의 대출 축소와 같은 구조적 변화가 동반된다면 국내 대출형 펀드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리포트는 국내 대출형 펀드 시장이 단순한 경기 사이클을 넘어, 구조적으로도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갖추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주요 금융기관들은 건설경기 둔화 등으로 부동산 익스포저를 빠르게 축소하고 있다. 반면, 보험사들은 이와는 다른 요인인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대출 여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이는 구조적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이며, 시장 참여자들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보고서 다운로드 비밀번호는 [corebeat63]입니다.

인사이트 보고서 다운로드
logo

프리미엄 멤버십을 구독하는 유료 회원 전용 콘텐츠입니다.

유료 콘텐츠 구독은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세요.

무료 기사 보기

전체 회원에게 발행된 코어비트 뉴스를 확인해보세요!